간호학개론 |
Introduction to Nursing Science |
간호학에 입문하여 간호에 대한 철학적 과학적 성찰과정을 통해 간호의 본질에 대해 이해하고 전문직관을 가진다. 간호와 관련된 세계 및 한국사적 사건과 지도자의 활동을 학습함으로써 급변하는 국내외 간호현장에서 전문간호인으로서 자신만의 비전을 바탕으로 스스로의 역할을 정립한다. |
인간심리의이해 |
Introduction to psychology |
인간 마음과 정신과정에 관한 이해를 돕고자 그 원리가 되는 기초심리학에 대한 전반적인 지식을 익히고, 이러한 원리나 이론이 실생활 장면에 어떻게 활용되고 있는지를 학습한다. |
인체의구조 |
Anatomy |
인체 계통별 구조 및 기능의 이해를 통해 정상적인 신체구조를 확인하고 원리를 이해하며 의학용어로 의사소통할 수 있는 능력을 함양한다. 더불어 인체 생리적 기전의 이해를 통해 과학적이고 전인적인 간호를 수행하기 위한 간호학적 기초지식을 습득한다. |
미생물학 |
Microbiology |
감염을 일으키는 병원성 미생물에 대한 체계적인 지식 및 분류에 대해 학습하고, 감염미생물과 인체반응과의 관계에 대해 학습한다. 세균학, 진균학, 바이러스학 및 면역학의 기본지식을 학습하며, 감염질환과 진단, 관리, 병원 감염관리 방법에 대하여 소개하는 과목이다. 병원성 감염의 예방과 관리에 대한 지식과 기법을 습득하고 임상현장에서 감염을 예방하고 대상자를 감염으로부터 보호 할 수 있는 능력을 갖게 된다. |
윤리및전문직론 |
Nursing Ethics & Professionalism |
생명윤리, 윤리이론, 간호윤리강령, 전문직 및 전문직 사회화 등에 대해 학습함으로써 간호전문인으로서 지녀야 할 올바른 행동규범에 대한 지식과 태도를 갖추며, 나아가 간호현장에서 윤리적 갈등상황을 접하게 되었을 때 이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함양하도록 한다. |
의사소통론 |
Communication Theory |
본 교과목에서는 의사소통의 기초이론을 이해하고 대상자에 따른 의사소통 방법 및 기술을 습득하여 다양한 대상자와 상황에 맞는 효율적인 의사소통을 활용한 문제해결 능력을 함양하는데 초점을 둔다. |
약리학 |
Pharmacology |
약물의 임상적 응용을 위해 계통별 약물의 약리작용과 기대효과, 약물의 적응증, 약물의 부작용 및 간호중재와 같은 기초적인 과학적 지식을 습득하여 심화된 간호학 전공과목을 위한 기초지식을 함양한다. |
병태생리학 |
Pathophysiology |
인체의 해부, 생리적 기전에 근거하여 질병으로 인한 신체적 변화와 발생 과정을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간호를 수행함에 있어 갖추어야 할 질환의 증상과 병인, 진행 과정 등과 같은 과학적인 기초지식을 습득한다. |
간호과정과비판적사고 |
Nursing Process and Critical Thinking |
다양한 임상현장에서 비판적 사고를 기반으로 대상자의 건강상태를 체계적으로 파악해 대상자의 간호문제를 확인하고, 그 문제를 과학적 문제해결 과정인 간호과정을 통해 해결하는데 필요한 지식과 기술을 다룬다. |
건강사정 |
Health Assessment |
대상자의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건강 상태를 사정하기 위하여 문진, 시진, 촉진 및 청진 기술을 이용한 체계적인 신체검진과 건강사정에 관한 지식과 기술을 습득하여 대상자에게 적용할 수 있는 건강사정 능력을 함양하는데 초점을 둔다. |
기본간호학Ⅰ |
Fundamental Nursing Ⅰ |
간호의 기본개념인 간호, 인간, 건강 및 환경에 대하여 이해하고, 간호현장에서 요구되는 대상자의 다양한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기본간호에 대한 전문지식을 습득한다. 대상자의 건강 유지 및 증진을 위해 요구되는 건강사정, 안전, 안위, 영양, 배설 및 산소화와 관련된 기본간호의 개념과 기본간호술의 과학적 지식과 원리를 이해하고, 그에 대한 지식, 태도 및 간호술을 획득하여 전인간호를 제공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기 위한 교과목이다. |
기본간호학실습Ⅰ |
Fundamental Nursing Lab Ⅰ |
간호의 기본개념인 간호, 인간, 건강 및 환경에 대하여 이해하고, 간호현장에서 요구되는 대상자의 다양한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기본간호술을 습득한다. 대상자의 건강 유지 및 증진을 위해 요구되는 건강사정, 안전, 안위, 영양, 배설 및 산소화와 관련된 기본간호술의 과학적 지식과 원리를 이해하고, 그에 대한 지식, 태도 및 숙련된 간호술을 획득하여 수행하고, 전인간호를 제공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기 위한 교과목이다. |
임상간호영어 |
Clinical Conversation |
간호현장에서 사용되는 의학용어에 대한 이해와 영어권 대상자와의 의사소통 능력을 습득한다. |
간호와영양 |
Nursing and Nutrition |
영양에 관한 기초지식을 습득하고 질병과 영양과의 관계를 이해하여 임상에서 영양문제를 규명하여 확인하도록 한다. |
간호통계 |
Nursing Statistics |
통계학의 기본 개념과 이론적 지식을 습득하고, 간호학 및 건강실무 관련 영역에서 적용가능한 연구방법과 통계기법의 적용과정을 학습한다. |
보건의료및간호정책 |
Public Health and Nursing Policy |
보건의료 및 간호정책의 개념에 대한 지식을 함양하고 보건의료 및 간호 정책을 이해를 통해 간호전문직에 대한 시야를 넓히고 직업적 비전을 제시하며, 우리나라 보건의료정책의 방향과 과제를 논의한다. |
기본간호학Ⅱ |
Fundamental Nursing Ⅱ |
간호현장에서 요구되는 대상자의 다양한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기본간호에 대한 전문지식을 습득한다. 대상자의 건강상태를 얻기 위한 도구인 진단검사에 대해 이해하고, 피부통합성 및 상처간호, 수술주기 간호, 활동과 운동, 휴식과 수면, 체온유지, 임종간호 및 투약과 관련된 기본간호 개념과 기본간호술의 과학적 지식과 원리를 학습하며, 그에 대한 지식, 태도 및 간호술을 획득하여 전인간호를 제공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기 위한 교과목이다. |
기본간호학실습Ⅱ |
Fundamental Nursing Lab Ⅱ |
간호현장에서 요구되는 대상자의 다양한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기본간호술을 습득한다. 대상자의 건강 유지 및 증진을 위해 요구되는 상처간호, 활동과 운동, 수술 전∙후 간호, 체온유지 및 투약과 관련된 기본간호술의 과학적 지식과 원리를 이해하고, 그에 대한 지식, 태도 및 숙련된 간호술을 획득하여 수행하고, 전인간호를 제공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기 위한 교과목이다. |
성인간호학Ⅰ |
Adult Health NursingⅠ |
염증, 면역, 감염, 체액, 전해질, 종양, 수술 및 혈액계 건강문제를 지닌 성인 대상자의 질병예방과 건강유지 및 증진을 목적으로 간호과정을 적용하여 건강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폭넓은 지식을 제공하며, 복합적이고 총체적인 간호를 제공할 수 있는 비판적 사고와 근거기반 실무능력을 습득하도록 한다. |
모성간호학Ⅰ |
Maternity Nursing Ⅰ |
여성건강과 가족의 개념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임신·분만의 생리적 변화에 따른 건강반응에 대처하는 능력을 학습하며, 결혼 전 건강과 정상 임신에 대한 지식을 습득하고 정상 임부의 건강증진과 고위험 임부의 건강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함양한다. |
정신간호학Ⅰ |
Psychiatric Nursing Ⅰ |
정신건강간호의 원리와 기본 개념 그리고 인간의 이해에 필요한 지식을 습득하여 정신건강간호와 인간을 총체적으로 이해한다. 또한 개인과 가족, 지역사회의 정신건강을 유지, 증진시키고, 정신건강 문제를 가진 대상자의 질병 회복과 재활을 돕기 위해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정신간호수행에 필요한 지식, 기술, 태도를 습득하고, 이를 간호과정에 적용한다. |
성장과발달 |
Human Growth and Development |
출생의 주기에 따라 인간에 대한 기본 이해와 더불어 인간의 전 생애에 걸쳐 발생할 수 있는 건강문제에 대한 지식을 습득하여 성장발달 단계에 따른 건강증진 능력을 함양한다. |
자아탐색과인성회복 |
Self-reflection and Human Nature |
실제 생활에서의 자기성찰 능력과 회복탄력성을 함양하기 위하여 자기돌아보기 명상법을 적용하여 본성으로 돌아갈 수 있도록 개발한 인성교과목이다. 이론과 지식 위주의 수업을 탈피하여 학생들 스스로 적용하여 생활에 실천할 수 있도록 다양한 실천활동으로 이루어지며, 학생들은 자기돌아보는 과정을 통하여 자기자신 및 타인에 대한 이해와 공감능력, 협업능력을 향상시켜 자기본성을 알고 사는 행복한 간호사로 성장하도록 돕는다. |
성인간호학Ⅱ |
Adult Health Nursing Ⅱ |
신배뇨계, 혈액계 성인 대상자의 질병예방과 건강유지 및 증진을 목적으로 간호과정을 적용하여 건강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폭넓은 지식을 제공하며, 복합적이고 총체적인 간호를 제공할 수 있는 비판적 사고와 근거기반 실무능력을 습득하도록 한다. |
성인간호학Ⅲ |
Adult Health Nursing Ⅲ |
콩팥∙요로계, 남성생식기계, 유방, 감각계 성인 대상자의 질병예방과 건강유지 및 증진을 목적으로 간호과정을 적용하여 건강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폭넓은 지식을 제공하며, 복합적이고 총체적인 간호를 제공할 수 있는 비판적 사고와 근거기반 실무능력을 습득하도록 한다. |
아동간호학Ⅰ |
Pediatric Nursing Ⅰ |
아동간호의 주요개념과 성장발달을 이해하고, 합리적인 의사소통, 비판적 사고를 바탕으로 아동과 가족이 최적의 건강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지식, 기술, 태도를 습득한다. 또한 아동기 안전사고와 응급조치 방법에 대한 지식을 습득하여 상황에 적합한 간호술을 선택할 수 있는 기본을 다진다. |
모성간호학Ⅱ |
Maternity Nursing Ⅱ |
여성의 분만 및 산욕에 대한 지식을 습득하여 정상 및 고위험 산부, 산욕부의 건강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며, 폐경의 기전 및 생식기계 질환에 대한 지식을 습득을 통해 생식계 질환여성의 건강문제를 해결하고 대상자의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능력을 함양한다. |
정신간호학Ⅱ |
Psychiatric Nursing Ⅱ |
정신건강문제가 있는 개인, 가족, 그리고 지역사회 대상자의 정신건강 및 정신질환에 따른 역동을 이해하고, 대상자에게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간호과정을 적용하며 관련된 이론을 실제에 적용할 수 있는 지식, 태도 및 기술을 습득하여 정신간호사로서의 능력을 함양한다. |
간호연구 |
Nursing Research |
다양한 간호현장에서 나타나는 연구문제를 규명하고, 이를 체계적 과학적인 방법으로 해결하기 위해 필요한 구체적인 연구의 절차와 방법에 대한 지식과 기술을 습득한다. |
성인간호학실습Ⅰ |
Clinical Practicum for Adult Health Nursing Ⅰ |
성인간호학에서 배운 이론적 지식을 기반으로 하여 실제 임상에서 염증, 면역, 감염, 종양, 수술, 혈액계, 소화기계 및 콩팥∙요로계 건강문제를 지닌 대상자에게 간호과정을 적용하여 실습하는 과목으로 대상자를 중심으로 간호자료를 수집, 분석하고 간호문제를 확인하며, 간호계획을 세워 실제 수행하고 그 결과를 평가하고, 전인간호를 수행할 수 있는 지식, 기술 및 태도를 습득한다. |
모성간호학실습 |
Clinical Practicum for Maternity Nursing |
임신⋅분만 및 산욕에 관한 이론적 지식을 바탕으로 임상에서 여성의 분만과정, 산욕과정과 생식기와 관련된 문제에 대해 간호과정을 적용하고, 대상자들의 건강관리 능력 및 문제해결 능력을 갖도록 한다. 내적 및 외적 환경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최적의 건강을 유지,증진하도록 간호과정을 통해 전인간호를 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른다. |
아동간호학실습 |
Clinical Practicum for Pediatric Health Nursing |
간호실무 현장에서 아동의 발달단계별 특성과 급만성 건강문제를 확인하고, 아동과 가족에게 간호과정을 적용하는 능력을 기른다. 또한, 아동의 간호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아동의 건강상태를 평가하며 전문직 아동간호사로서의 소양을 갖춘다. |
정신간호학실습Ⅰ |
Clinical Practicum for Psychiatric Health Nursing Ⅰ |
임상현장에서 자신과 대상자를 이해하는 능력을 기르고 정신건강문제를 가진 대상자와 신뢰관계를 수립하여 치료적 관계를 형성한다. 또한 정신질환을 가진 대상자의 정신상태사정과 관련된 지식과 기술을 습득하여 정신건강문제를 사정하고 진단하는 능력을 함양한다. |
성인간호학Ⅳ |
Adult Health Nursing Ⅳ |
호흡기계, 근골격계 성인 대상자의 질병예방과 건강유지 및 증진을 목적으로 간호과정을 적용하여 건강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폭넓은 지식을 제공하며, 복합적이고 총체적인 간호를 제공할 수 있는 비판적 사고와 근거기반 실무능력을 습득하도록 한다. |
아동간호학Ⅱ |
Pediatric Nursing Ⅱ |
건강 문제를 지닌 아동과 그 가족이 건강 문제에 대처하고 극복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해 필요한 지식, 태도 및 기술을 습득하며 아동 간호사로서의 능력을 함양한다. |
지역사회간호학Ⅰ |
Community Health Nursing Ⅰ |
지역사회간호학의 개념적 토대 및 지역사회간호과정을 이해하고 우리나라 보건의료체계 및 공공보건의료에 대하여 학습함으로써 지역사회 주민의 건강을 유지 증진할 수 있는 능력을 함양한다. |
간호관리학Ⅰ |
Nursing Management Ⅰ |
간호관리 이론, 관리 과정 및 기능에 관한 지식, 기술 및 태도를 습득하여 간호전문직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관리의 이해, 기획, 의사결정, 재무관리, 마케팅, 조직, 인적자원관리를 학습하게 된다. |
간호캡스톤디자인I |
Capstone design Practicum |
국내ㆍ외 간호실무 및 교육에서의 문제를 규명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간호연구에서 학습한 지식을 바탕으로 과학적 연구절차와 방법에 따라 팀별 활동을 통해 연구를 수행하기 위한 교과목이다. |
성인간호학실습Ⅱ |
Clinical Practicum for Adult Health Nursing Ⅱ |
성인간호학에서 배운 이론적 지식을 기반으로 실제 임상에서 신배뇨기계, 혈액계, 소화기계, 간담도계 건강문제를 지닌 대상자에게 간호과정을 적용하는 실습하는 과목으로, 간호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하며, 간호계획을 세워 수행하고 그 결과를 평가함으로서 대상자의 빠른 회복과 건강증진을 돕는다. |
정신간호학실습Ⅱ |
Clinical Practicum for Psychiatric Health Nursing Ⅱ |
정신건강 및 정신질환에 따른 역동을 이해하고, 정신질환자의 신체·심리·정서적 건강 문제를 확인하며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간호과정을 적용함으로써 효율적인 간호중재 수행 능력을 기른다. 또한 개인, 가족, 지역 사회의 정신 건강을 유지, 증진, 회복하고 정신질환을 예방하며 재활을 도울 수 있는 간호 수행 능력을 함양하여 정신간호사로서의 자질을 갖춘다. |
환자안전과 간호 |
Patient Safety and Nursing |
환자안전과 그에 따른 간호활동에 대한 이해를 돕고 실제적으로 의료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방법을 습득한다. |
국제간호 |
International Nursing |
국내외 보건의료동향, 국가별 의료시스템과 보건의료정책을 파악하여 간호가 미래 보건의료의 발전을 어떻게 주도해야 하는지에 대해 이해하기 위한 교과목이다. |
진단검사와간호 |
Diagnostic Tests and Nursing |
해부 및 병태생리 등의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다양한 임상검사에 대한 최신 지식을 체계적으로 습득할 수 있도록 검사물의 종류와 분석방법에 따라 검사를 분류하고 특정 검사와 검사 과정을 이해하기 위한 교과목이다. |
성인간호학V |
Adult Health Nursing V |
심혈관계 대상자 및 쇼크 환자의 질병예방과 건강유지 및 증진을 목적으로 간호과정을 적용하여 건강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폭넓은 지식을 제공하며, 복합적이고 총체적인 간호를 제공할 수 있는 비판적 사고와 근거기반 실무능력을 습득하도록 한다. |
간호관리학Ⅱ |
Nursing Management Ⅱ |
간호관리 이론, 관리 과정 및 기능에 관한 지식, 기술 및 태도를 습득하여 간호전문직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지휘, 통제, 간호단위관리, 법적 의무를 학습하게 된다. |
지역사회간호학Ⅱ |
Community Health Nursing Ⅱ |
생애주기별 인구를 대상으로 한 보건사업과 가족간호, 환경보건, 안전과 재난간호 등 분야별 지역사회 간호에 대한 지식을 익히며 이를 실제 사례에 적용하는 능력을 함양한다. |
간호캡스톤디자인II |
Capstone design Practicum II |
다양한 대상자의 건강문제를 이해하고 관련 지식을 통합하여 전문직 직업관과 윤리의식을 바탕으로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간호를 제공할 수 있는 지식, 태도, 기술을 습득함으로써 보건의료 현장에서 요구하는 간호사의 기본적인 역량을 함양한다. |
성인간호학실습Ⅲ |
Clinical Practicum for Adult Health Nursing Ⅲ |
성인간호학에서 배운 이론적 지식을 기반으로 실제 임상에서 호흡기계, 근골격계 건강문제를 지닌 대상자에게 간호과정을 적용하는 실습하는 과목으로, 간호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하며, 간호계획을 세워 수행하고 그 결과를 평가함으로서 대상자의 빠른 회복과 건강증진을 돕는다. |
지역사회간호학실습Ⅰ |
Community Health Nursing Practicum Ⅰ |
공공보건의료기관인 보건소, 보건지소, 보건진료소에서 행해지는 질병예방, 건강유지, 증진사업에 참여함으로써 지역사회 주민의 건강을 유지 증진할 수 있는 능력을 함양한다. |
간호관리학실습 |
Clinical Practicum for Nursing Management |
간호관리 이론 및 관리기능에 대한 지식, 기술 및 태도를 습득하여 간호조직에 이를 적용하며, 건강관리체계 내에서 간호사 및 간호관리자에게 요구되는 자질과 능력을 갖추어 효율적, 효과적으로 간호관리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
선택실습 |
Elective Nursing Practicum |
학생들이 관심분야를 스스로 선택한 후 과학적 지식을 활용하여 집중적으로 통합실습하게 함으로써 전문직 간호사로서 건강증진 및 건강회복을 위한 간호활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
종양간호 |
Oncology Nursing |
종양의 병태생리, 종양치료, 암환자 증상관리 및 암환자 간호에 대해 학습하여 종양간호에 대해 이해하고, 종양환자에게 과학적이고 전인적인 간호수행을 위한 전문지식을 습득할 수 있도록 한다. |
중환자간호 |
Critical Care Nursing |
전문적인 간호지식과 고도의 기술이 요구되는 급성기 중증 질환자에게 제공해야 하는 순환계, 호흡기계, 신경계, 내분비계, 신배뇨기계 등을 포함한 신체적, 심리적 간호영역에 대한 지식, 기술, 태도를 습득하는 교과목이다. |
응급간호 |
Emergency Nursing |
응급상황이 발생된 병원 전 현장에서부터 병원 응급실에서의 집중적인 치료 및 간호, 일반 병실에서의 응급상황에 대한 처치와 간호를 포괄적으로 습득할 수 있는 교과목이다. |
지역사회정신보건간호 |
Community Mental Health Nursing |
지역사회정신보건의 기본 개념과 원리를 이해하고 지역사회 정신건강 관리를 위한 체계적이고 합리적인 간호과정을 적용할 수 있는 지식, 태도, 기술을 함양한다. |
보건의료법규 |
Health Care Law |
의료인으로서 보건의료에 관한 기본적 법률을 이해하며, 법적 사고 증진과 문제해결 능력을 함양한다. |
성인간호학VI |
Adult Health Nursing VI |
신경계, 내분비계 성인 대상자의 질병예방과 건강유지 및 증진을 목적으로 간호과정을 적용하여 건강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폭넓은 지식을 제공하며, 복합적이고 총체적인 간호를 제공할 수 있는 비판적 사고와 근거기반 실무능력을 습득하도록 한다. |
노인간호학 |
Gerontological Nursing |
인간의 노화과정과 노년기 주요 건강문제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노인의 건강문제 해결을 위한 전문직 간호사로서의 지식, 기술 및 태도를 습득한다. |
간호캡스톤디자인III |
Capstone design Practicum Ⅲ |
실제 임상 현장에서의 상황을 주제로 의사소통, 비판적 사고, 협력, 리더십 및 국제화 능력을 함양하고 학습성과의 달성 여부를 확인한다. |
지역사회간호학실습Ⅱ |
Community Health Nursing Practicum Ⅱ |
근로자의 질병예방, 건강유지 및 증진을 위한 산업보건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직업건강간호사로서의 지식과 태도, 기술을 함양한다. |
노인간호학실습 |
Gerontological Nursing Practicum |
인간의 노화과정과 노년기 주요 건강문제에 대한 지식을 바탕으로 노인의 건강문제 해결을 위한 실제적인 간호를 제공할 수 있도록 전문직 간호사로서의 자질을 함양한다. |
성인간호학실습Ⅳ |
Adult Nursing Practicum Ⅳ |
성인간호학에서 배운 이론적 지식을 기반으로 실제 임상에서 신경계, 내분비계 건강문제를 지닌 대상자에게 간호과정을 적용하는 실습하는 과목으로, 간호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하며, 간호계획을 세워 수행하고 그 결과를 평가함으로서 대상자의 빠른 회복과 건강증진을 돕는다. |
보건교육론 |
Theory of Health Education |
건강증진과 보건교육의 기본원리를 이해하고 병원, 학교, 산업체, 지역사회 등 다양한 생활터별 보건교육의 특성과 구체적 운영방법을 학습한다. 특히 대상자의 요구와 특성을 고려한 보건교육 프로그램을 기획하고 교육방법과 매체를 적용하여 보건교육의 결과를 평가하는 능력을 갖춘다. |